간호계 소식

간협, ‘나이팅게일의 생애와 업적’ 한국어판 발간

  • 2021.05.17
  • 작성자 : 중앙센터
  • 조회수 : 5175
간협, ‘나이팅게일의 생애와 업적’ 한국어판 발간
전문직 간호사 시대 연 위대한 개척자 ‘나이팅게일’

[편집국] 정규숙 편집국장   kschung@koreanurse.or.kr     기사입력 2021-05-10 오전 08:06:11


* 책 표지. 크림전쟁 당시 스쿠타리 병원에서의 나이팅게일 모습을 담은 채색 석판화(1855년).

크림전쟁의 전설 ‘등불을 든 귀부인’

영국왕립통계학회 최초의 여성 회원

관습과 제도의 벽 깨고 변화 주도한 개혁가

“간호 노트” 등 200편 이상의 책과 기고문 저술

대한간호협회는 5월 12일 국제간호사의 날을 맞아 “플로렌스 나이팅게일의 생애와 업적” 한국어판을 발간했다.

이는 나이팅게일의 발자취를 살펴보는데 표준 길잡이가 되어줄 책이다. 영국의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박물관이 펴낸 대표적인 전기를 번역한 것이다. 원제는 “FLORENCE NIGHTINGALE : Celebrating her life and legacy”이다. 이 책의 해외 번역판이 발간된 것은 한국어가 처음이다.

플로렌스 나이팅게일(1820-1910, 영국인)은 현대 간호의 창시자이자 전문직으로서의 간호사 시대를 연 위대한 개척자이다. 나이팅게일은 세계적으로 간호사를 일컫는 대명사이자 아이콘이다.

‘국제간호사의 날(International Nurses Day)’은 나이팅게일 탄생일인 5월 12일을 기념하기 위해 국제간호협의회(ICN)에서 1972년 제정했다.

이 책은 나이팅게일의 전 생애를 압축한 결정체이다. 총 13개장으로, 각 장은 1∼2쪽으로 간결하게 서술됐다. 누구나 부담 없이 쉽게 읽을 수 있는 분량이면서도 나이팅게일 박물관이 소장한 사료를 농축한 고밀도의 글이다. 나이팅게일과 빅토리아 시대를 탐구하고 있는 전문번역가 박찬호 씨의 손길을 거쳐 한국어판의 완성도를 높였다.

진귀한 사진들이 풍부하게 수록돼 화보집으로서도 손색이 없다. 어린 시절부터 황혼의 나이팅게일 모습과 저서, 당시 시대상을 보여주는 사진 및 그림 38점을 만나볼 수 있다.

이 책은 그동안 크림전쟁에서 ‘등불을 든 귀부인’으로 널리 알려지면서 오히려 가려졌던 나이팅게일의 수많은 업적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해준다.

나이팅게일은 영국왕립통계학회 최초의 여성 회원으로 선정된 존경 받는 통계학자이다. 관습과 제도의 벽을 깨고 강력한 변화를 주도한 개혁가이며 철학자이다. 간호와 보건의료의 새 길을 만든 개척자이며 리더이다. 또한 “간호 노트(Notes on Nursing)” 등 간호 관련 저술을 비롯해 다양한 주제에 대해 200편 이상의 책과 기고문 등을 썼다.

영국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박물관 측은 “이 책은 나이팅게일의 빛나는 생애와 발자취를 따라가 볼 수 있는 최고의 기회가 될 것”이라며 “한국어판 발간은 국제간호사의 날을 기념하는 매우 멋진 일이며, 대한간호협회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대한간호협회 신경림 회장은 “2020년이 나이팅게일 탄생 200주년이며, 세계 간호사의 해로 지정된 것을 기념하고자 나이팅게일 전기의 표준 길잡이가 되어줄 책 출판을 추진해 결실을 맺게 됐다”고 밝혔다.

이어 “크림전쟁에서 희망의 등불을 들었던 나이팅게일의 숭고한 간호정신이 오늘날 코로나19 최전선으로 망설임 없이 뛰어든 한국 간호사들에게서 다시 발현돼 국민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고귀한 빛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이 책은 교육용 비매품이며, 대한간호협회는 전국 간호대학과 국공립 및 어린이 도서관 등에 기증할 예정이다.

[책 목차]

01. 비범한 생애와 업적

02. 황금빛 새장

03. 소명을 따라

04. 영국의 참전

05. 미증유의 재앙

06. 만물잡화상

07. 전설의 탄생

08. 귀국

09. 필생의 과업

10. 나이팅게일 간호학교

11. 나이팅게일의 “노트”

12. 개혁 운동

13. 황혼


* 명함으로 사용한 나이팅게일 사진(1856년). 19세기 중후반 유럽에서 유명 인사들은 사진에 이름을 써서 자신을 알리는 사교적 수단으로 사용했으며, 오늘날의 명함과 같은 기능을 했다.

<사진 저작권자©영국 플로렌스 나이팅게일 박물관.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출처] 간호사신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