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직 공무원 정원 늘려 달라” 청원서 --- 보건간호사회, 보건복지부에 제출
- 2021.07.28
- 작성자 : 중앙센터
- 조회수 : 407
“간호직 공무원 정원 늘려 달라” 청원서 --- 보건간호사회, 보건복지부에 제출
[편집국] 정규숙 편집국장 kschung@koreanurse.or.kr 기사입력 2021-07-23 오후 08:54:22
대한간호협회 보건간호사회는 보건소 간호사의 업무과중 해소를 위해 간호직 정원을 확대해달라는 내용의 청원서를 보건복지부에 제출했다.
보건간호사회(회장 양숙자)는 ‘국민 건강과 안전을 위해 일하고 있는 보건소 간호사의 업무과중 해소를 위한 간호직 정원 확대를 간절하게 요청합니다!’라는 제목의 청원서를 7월 23일 보건복지부에 제출했다.
청원서에는 보건간호사들을 비롯해 전국 시군구 지역주민 등 9만8467명이 직접 서명했다.
보건간호사회는 청원서에서 “간호직 공무원 정원을 현실에 맞도록 조정해야 한다”며 “보건소 간호직 공무원이 의료인이라는 의무감으로 버티기에는 한계를 통감하며, ‘간호직 공무원 정원 확대’라는 실질적 대책이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에 간절히 요청드린다”고 호소했다.
0... 보건소에서 일하는 간호직 공무원들은 코로나19가 시작된 이래 지속된 주야간 비상근무로 지쳐가고 있다. 특히 코로나19 발생 이후 간호직 공무원은 대부분 월 100시간 이상 초과근무에 시달리고 있다.
지난 5월 부산시 동구보건소에서 과도한 업무를 호소하며 극단적인 선택을 한 30대 간호직 공무원의 경우도 올들어 363시간 초과근무를 한 상황이었다.
보건소 간호사들에게는 선별진료소 운영, 확진자 가정 방문 및 검체 채취, 확진자 후송, 역학조사, 자가격리자 관리 등 코로나19 환자가 폭증할 때마다 새로운 업무가 계속 쌓여가고 있다. 또한 백신접종이 시작되면서 관련 민원이 관할 보건소로 몰리면서 업무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0...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고민정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의 자료에 따르면 코로나19가 발생한 작년에 사직한 보건소 간호사가 160명으로, 지난 3년간 한해 평균(108명)에 비해 1.48배 늘었다. 휴직한 간호사는 909명으로, 3년간 평균(634명)에 비해 1.43배 늘었다. 올해도 5월까지 휴직자가 580명, 사직자는 66명으로 계속 늘고 있는 추세다.
0... 하지만 현행 지역보건법에 명시된 보건소 간호사 배치기준은 지난 25년간 단 한 번도 고치질 않았고, 보건소마다 정규 간호사 정원을 늘리는 대신 편법으로 한시직 공무원만 늘리고 있다.
보건간호사회는 “보건소에서 근무하는 간호사는 코로나19 사태와 같은 국가적 재난재해 상황에서 뿐만 아니라 공공의료와 건강복지의 필수인력”이라며 “그러나 보건소의 주역이라고 할 수 있는 간호사들을 정부나 지자체에서 정규직 대신 ‘공무직’이라는 이름의 무기계약직, 한시적 계약직으로 뽑는 경우가 늘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시적 근로자 신분인 간호사가 보건소 전체 간호사의 절반을 차지하고 있다.
특히 보건소 인력 중 간호직 비중은 33.6%로 가장 많지만 상위직에 오르기가 힘든 실정이다. 보건소장은 전체의 14.7%(32명), 보건소의 과장급은 24.2%(109명), 팀장급은 30.9%(705명)에 불과하다.
0...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에도 ‘코로나19 방역 보건소 간호사들이 지쳐 쓰러지지 않도록 해주세요’라는 보건간호사의 글이 6월 29일 올라왔으며, 현재 6만여명이 동의했다.
대한간호협회는 “간호사를 단순히 ‘천사’나 ‘영웅’으로 부르는 현실은 간호사의 전문성과 역할에 대한 중요성을 간과한 것”이라면서 “이제는 단순히 간호사의 사명감이나 헌신에 기대기보다는 제 역할을 다할 수 있도록 간호법 제정을 통해 간호사의 적절한 배치와 근무조건, 열악한 처우를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