필수 의료분야 숙련된 간호사 8100명 양성 추진
- 2024.02.07
- 작성자 : 중앙센터
- 조회수 : 264
필수 의료분야 숙련된 간호사 8100명 양성 추진
숙련 간호사 양성 위해 84개 종합병원 교육전담간호사 인건비 지원
[편집국] 정규숙 편집국장 kschung@koreanursing.or.kr 기사입력 2024-02-01 오전 11:49:36
보건복지부는 숙련된 간호사를 양성하기 위해 올해부터 신규로 추진되는 ‘필수의료 간호사 양성지원 사업’ 지원기관을 공모한 결과 84개 의료기관, 교육전담간호사 239명을 선정했다고 밝혔다.
이 사업은 중환자실, 수술실, 응급실, 집중치료실(뇌졸중 및 고위험임산부)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교육을 담당하는 교육전담간호사 인건비를 지원해 필수 의료분야에서 숙련된 간호사를 양성하는 사업이다.
필수의료대책(2023.1), 간호인력 지원 종합대책(2023.4), 신종감염병 대유행 대비 중장기 계획(2023.5)에 따른 후속 조치이다.
지원 대상은 중환자실 등 필수 의료분야 병동을 운영 중인 종합병원이다. 올해는 수도권 소재 41곳과 비수도권 소재 43곳, 총 84곳을 선정했다.
84개 의료기관 소속 교육전담간호사 239명이 해당 의료기관의 중환자실, 수술실, 응급실, 집중치료실에서 근무하는 간호사 약 8100명에게 체계적인 교육을 지원해 숙련된 간호사로 양성할 계획이다. 교육전담간호사 1인당 월 310만원이 지원된다.
작년에 국비를 투입해 개발한 중환자(성인·소아)와 응급환자(성인·소아) 표준교육프로그램을 활용해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또한 사업 참여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교육 및 컨설팅을 제공해 사업 초기 안착을 지원할 예정이다.
보건복지부 정경실 보건의료정책관은 “환자 중증도가 높아 업무 난이도가 높고 신속한 대응이 요구되는 중환자실 등에서 근무하는 숙련 간호사를 양성해 필수의료 강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사업 참여기관 84곳
△KS병원(광주) △가톨릭관동대학교 국제성모병원(인천) △가톨릭대학교 부천성모병원(경기)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서울) △갑을장유병원(경남) △강남병원(경기) △강원대학교병원(강원) △강원도삼척의료원(강원) △강일병원(경남) △경기도의료원 수원병원(경기) △경기도의료원 안성병원(경기) △경기도의료원 의정부병원(경기) △경기도의료원 이천병원(경기) △경기도의료원 파주병원(경기) △경기도의료원 포천병원(경기) △경상북도김천의료원(경북) △광혜병원(부산) △국립암센터(경기) △국립중앙의료원(서울) △김천제일병원(경북) △김해복음병원(경남) △나사렛국제병원(인천) △노원을지대학교병원(서울) △뉴고려병원(경기) △대동병원(부산) △대우병원(경남) △대전을지대학교병원(대전) △동군산병원(전북) △동남권원자력의학원(부산) △부민병원(서울) △부천세종병원(경기) △분당제생병원(경기) △삼육서울병원(서울) △서울의료원(서울) △서울적십자병원(서울) △서울특별시서남병원(서울) △세종충남대학교병원(세종) △센텀종합병원(부산) △순천향대학교 구미병원(경북) △순천향대학교 서울병원(서울) △아산충무병원(충남) △에스포항병원(경북) △에이치플러스양지병원(서울) △오산한국병원(경기) △운암한국병원(광주) △울산병원(울산) △윌스기념병원(경기) △의정부을지대학교병원(경기) △익산병원(전북) △인제대학교 해운대백병원(부산) △인천광역시의료원(인천) △인천세종병원(인천) △인천적십자병원(인천) △일산차병원(경기) △일신기독병원(부산) △제주대학교병원(제주) △제천명지병원(충북) △제천서울병원(충북) △좋은강안병원(부산) △좋은문화병원(부산) △좋은삼선병원(부산) △좋은삼정병원(부산) △좋은선린병원(경북) △중앙대학교광명병원(경기) △지샘병원(경기) △차의과학대학교 강남차병원(서울) △차의과학대학교 구미차병원(경북) △차의과학대학교 분당차병원(경기) △참조은병원(경기) △창원경상국립대학교병원(경남) △창원파티마병원(경남) △천안충무병원(충남) △충청남도 공주의료원(충남) △충청남도 서산의료원(충남) △충청남도 천안의료원(충남) △충청남도 홍성의료원(충남) △포항성모병원(경북) △포항세명기독병원(경북) △하남성심병원(광주) △한국보훈복지의료공단 중앙보훈병원(서울)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서울) △한림대학교 춘천성심병원(강원) △혜민병원(서울) △홍익병원(서울).